사료
사료배합 R&D
1. 육성목표
원료비 경쟁력 개선과 품질 유지를 위한 배합비 작성 및 분석을 수행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사료배합 R&D 직무는 배합비 작성, 배합비 분석, 배합비 정보제공, 해외 배합비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합비 작성 : 생산계획 작성, 원료영양소 평가, 원료 동향 파악, 배합비 프로그램 운용, 생산공장 배합비 송부
- 배합비 분석 및 정보 제공 : 원료비 실적 및 이익 분석, 향후 예상 원료비 및 장기 마진 예상 분석
- 해외 배합비 지원 : 해외 배합비 프로그램 관리, 해외 배합비 담당자 교육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축종별 영양 기초 및 심화, 원료별 영양 및 특성, 외국어, 회계이론
-
- 2) 기술(Skill)
- BEST MIX 운용, SAP 운용, 수익구조 분석
-
- 3) 태도(Attitude)
- 정확성, 객관성, 유연성, 주도성, 적극성, 논리성
양돈&양계 R&D
1. 육성목표
영양, 사양관리, 환경관리 등의 양돈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양돈 생산성을 높이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양돈 R&D 직무는 양돈 사료 신제품 개발, 양돈 영양 신기술 개발, 연구 프로젝트 관리, 양돈 사양 관리 지도, 내부 직원 양돈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양돈 사료 신제품 개발 : 증체 사료비 절감
- 양돈 영양 신기술 개발 : 생산성 개선 기술 개발
- 연구 프로젝트 관리 : 연구 과제 수행
- 양돈 사양 관리 지도 : 내-외부 고객 역량 강화
- 내부 직원 양돈 교육 : 내부 고객 역량 강화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양돈 신기술 시장 정보, 양돈 사양관리, 양돈 영양
-
- 2) 기술(Skill)
- 문제해결 능력, 과제 기획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프레젠테이션 스킬
-
- 3) 태도(Attitude)
- 통찰력, 논리력, 조직력, 창의적 사고, 실행력, 주도성, 열정
양돈&양계 R&D
1. 육성목표
양돈/양계 생산성을 개선 목적으로 아래 영역의 지식 소유자
: 영양 – 사양관리 – 환경 관리 등의 양돈/양계에 관한 종합적 전문 지식 기반, 영양 분야에 있어서는 Specialist, 축산업에 있어서는 Semi-Specialist
2. 직무소개
양돈&양계 R&D 직무는 사료 신제품 개발, 영양 신기술 개발, 연구 프로젝트 관리, 사양 관리 점검, 내부 고객 전문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료 신제품 개발 : 고객 니즈 맞춤형 영양 기술이 접목된 사료 제품
- 영양 신기술 개발 :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한영양적 접근 실시
- 연구 프로젝트 관리 : 국내 / 해외 R&D 주요 연구 과제의 협업 공동 관리
- 사양 관리 점검 : 고객 현장의 사양 관리 점검
- 내부 고객 전문 교육 : 내부 고객들의 양돈/양계 부분 기본 지식 함양과 고도화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동물영양학(양돈/양계, 박사급), 동물성장발달, 동물번식, 양돈/양계 산업
-
- 2) 기술(Skill)
- 영양소 요구량 이해와 설정, 영양소 결핍/과다 문제, 환경 조건과 동물의 성장 영향, 영어 구사 능력, 기능성 첨가제 기본 효과
-
- 3) 태도(Attitude)
- 통찰력, 논리력, 창의력, 실행력, 열정, 공감 능력
양어 R&D
1. 육성목표
양어 영양, 양식장 사양/환경 관리 및 양식생리 등의 전문 지식을 구비한, 양어 사료/환경관리 Specialist
2. 직무소개
양어 R&D 직무는 -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양어 제품 개발/관리 : 고객/시장 니즈에 맞는 사료 제품 개발/관리
- 양어 영양소 시스템 개발/관리 : 생산성/생산비/생산품질 개선을 위한 양어 영양소 시스템 개발/관리
- 친환경 양식 기술 확보 : 환경 이슈와 관련된 친환경 양식 기술 확보
- 사양관리 컨설팅 : 고객 양식장 사양관리 컨설팅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어류영양학(박사급), 양어사료학, 양식생리학, 양식환경학, 어병학, 양식시설, 사료가공
-
- 2) 기술(Skill)
- 어류별 주요 영양소 및 요구량 이해, 양어 사료 원료에 대한 영양적/생리적 이해, 양식장 환경 조성에 대한 이해, 양어 생산 시스템에 대한 이해 (종묘장-양식장)
-
- 3) 태도(Attitude)
- 통찰력, 논리력, 창의력, 실행력, 공감 능력
축우 기술개발
1. 육성목표
축우분야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제품의 품질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축우 기술개발 직무는 제품개발, 제품개선 및 관리, 신기술 개발, 직원 전문역량 강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개발 : 고객 니즈 파악 및 아이디어
- 제품개선 및 관리 : 현장상황 파악 및 정보수집
- 신기술 개발 : 연구동향 파악, 평가시험
- 직원 전문역량 강화 교육 : 세미나 및 교육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축우 영양, 축우 사양관리
-
- 2) 기술(Skill)
- 신제품 개발, 개발 제품 모니터링, 문헌 및 기술교류 정보 활용, 프레젠테이션 능력
-
- 3) 태도(Attitude)
- 창의적 사고, 민첩성, 적극성
양돈
축산환경
1. 육성목표
환경공학(수질, 대기, 토양)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축산업의 각종 환경규제 및 민원 대응에 필요한 적정기술 연구개발, 현장 진단 및 개선 컨설팅을 수행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축산환경 직무는 연구 개발, 컨설팅, 제작 및 시운전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 개발 : 가축분뇨 정화 처리 및 자원화,악취 저감 기술 개발, 기술 동향 파악
- 컨설팅 : 현장 환경 시설 진단, 운영 효율 개선 자문
- 제작 및 시운전 : 환경 시설 제작 및 운영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환경공학(수질, 대기, 토양), 축산시설 구성 및 운영, 환경규제, 환경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
- 2) 기술(Skill)
- 물질 수지 산정, 실험 설계/수행 및 분석, 공정 및 기자재 설계, 환경 영향 평가, 물질 수지 산정, 전장 및 기장 평가, 공정 및 공법 기자재
-
- 3) 태도(Attitude)
- 창의성, 분석력, 논리력, 관찰력, 통찰력, 정확성, 정밀성
양돈건축설계
1. 육성목표
돈사 건축 및 양돈 시설의 기초 이론, 기술을 이해하고, 현장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돈사 건축 설계에 양돈 시설 설계를 적용하며, 최적의 비용으로 환경조절 및 사양관리가 용이한 친환경 양돈장 건축설계를 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양돈건축설계 직무는 돈사설계, 양돈시설연구, 공사비용산정, 돈사자재연구,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돈사설계 : 돈군흐름 연구, 돈사 및 설비 설계
- 양돈시설연구 : 사료, 급수 설비 연구, 기타 자동화 설비 연구
- 공사비용산정 : 돈사 및 설비에 대한 적정비용 산정
- 돈사자재연구 : 돈사 내부자재 연구, 대체 자재 연구
- 교육 : 시설 교육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설비규격, 건축관련기준, 돈군흐름, 사양설비, 전기기기제어, 건축적산, 건축/설비 단가, 건축자재, 건축시공
-
- 2) 기술(Skill)
- 필요설비요구량작성 설계기술(CAD사용), 사양설비 설치 기술, 물량산정 및 적산 평가
-
- 3) 태도(Attitude)
- 정확성, 섬세함, 학습 자세
양돈사양시설 자동화 연구
1. 육성목표
타 산업의 신기술을 연구하여 양돈 산업에 적절한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양돈 사양 시설의 자동화, 기계화, 정보화를 통한 저비용, 고효율의 양돈농장을 구성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양돈사양시설 자동화 연구 직무는 -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양관리 자동화 R&D : 현재 사양관리법에 대한 이해, 자동화 필요 요소에 대한 이해
- 타 산업 신기술 연구 : 축산 이외 산업의 자동화기술 확인, 정보통신기술을 양돈업에 매칭
- 사양관리 자동화 제품 기획/제작/설치 : 자동화 제품에 대한 설계/기획, 자동화 제품에 대한 제작/성능평가
- 자동화 제품에 대한 설치/운영
- 교육 : 제품 운영 교육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사양 관리방법, 자동화 가능 요소, 전자기기제어, 전기/전자/컴퓨터, 시설 분야, 제품 구조, 원리
-
- 2) 기술(Skill)
- 기계 자동화 기술, 전자기기 운영기술, PCB 설계, 프로그래밍, 제품 운영 방법
-
- 3) 태도(Attitude)
- 고객필요에 대한, 열린 자세, 학습의 자세, 정확성
양돈시설∙사양연구
1. 육성목표
양돈시설, 사양에 대한 기초 이론, 기술 및 현장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사양기술, 양돈시설의 설계, 연구 및 적용을 하며, 인프라를 구축, 생산성 및 틀 개선을 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양돈시설∙사양연구 직무는 사양관리R&D, 양돈시설연구, 돈사 설계, 해외업무교류,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양관리R&D : 번식자료 분석 및 이해, 돼지육성자료 분석 및 이해
- 양돈시설연구 : 환기, 사료, 음수 및 기타 자동화 설비 연구
- 돈사 설계 : 돈군 흐름, 돈사 및 설비 설계
- 해외업무교류 : 해외 전문가 지식 교류
- 교육 : 사양관리 및 시설 교육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돼지 생리, 번식, 사료/배치 관리, 환기 설비, 사양 설비, 전기기기제어, 설비 규격, 건축관련기준, 돈군 흐름
-
- 2) 기술(Skill)
- 사양 관리(경험), 환경 측정 기술, 사양 설비 설치 기술(경험), 생산계획작성, 필요설비 요구량 작성, 레이아웃작성, 외국어
-
- 3) 태도(Attitude)
- 객관적인 자료 수집, 학습의 자세, 반복적인 피드백, 정확성, 섬세함, 책임감
수의업무
1. 육성목표
양돈 사양/환경관리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숙지한 상태에서 주요질병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여 농장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수의업무 직무는 사양관리 습득, 농장 환경관리, 주요 질병 대책 마련, 농장 성적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양관리 습득 : 농장의 pig flow에 따른사양관리 습득
- 농장환경관리 : 각 사육 단계별에 맞는 환경관리 지식 습득
- 주요 질병 대책 마련 : 질병에 대한 치료 및 대책 수립
- 농장 성적 분석 : 농장 성적 분석을 통한 생산성 문제 파악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양돈장 사양관리 지식, 양돈장 온도/환기 이론, 질병관련 수의 지식, 생산성 분석
-
- 2) 기술(Skill)
- 양돈장 경험, 온도/환기 조절능력, 부검 ·육안소견의 검사결과 분석, 오피스 프로그램 활용능력
-
- 3) 태도(Attitude)
- 외향성, 적극성, 세밀함, 창의적 사고
양돈정보 컨설팅
1. 육성목표
고객에게 풍요로운 삶을 제공하기 위하여, 피그온을 정확하게 사용하게 하고 성적분석을 통해 농장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농장의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양돈정보 컨설팅 직무는 피그온 교육, 피그온 성적분석, 피그온 성적분석 피드백, 해외양돈 성적분석, 농장성적 분석보고서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그온교육 : 사업부 및 대리점장, 농장주 및 농장장 교육실시
- 피그온 성적분석 : 핵심농장 자료분석 및 개선점 도출
- 피그온 성적분석 피드백 : 사업부 및 농장대상으로 성적분석 피드백 실시
- 해외양돈 성적분석 : 해외 우수농장 성적취합 및 분석 후 벤치마킹
- 농장성적 분석보고서 : 농장분석보고서 및 연간보고서 배표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피그온 매뉴얼 숙달, 양돈사양관리 및 흐름 파악, 농장의 목표성적 차이점 분석, 통계분석 및 해석
-
- 2) 기술(Skill)
- 피그온 프로그램 이해, 피그온 성적분석 기술 숙달, 농장 및 사업부, 성적개선 제안, 빅데이터 분석
-
- 3) 태도(Attitude)
- 창의적, 적극성, 주도면밀함, 외향성, 정확성, 통계, 세밀함, 기획력, 정확성
양돈 컨설팅
1. 육성목표
양돈장의 경영과 생산성을 위한 경영분석, 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농장의 비전과 개선 안을 제시하고 실행하여 실질적인 양돈장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양돈 컨설팅 직무는 농장 경영 컨설팅, 농장 경영 분석, 농장 생산성 향상 컨설팅, 농장 생산성 분석, 양돈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농장 경영 컨설팅 : 농장의 경영 개선 제안, 비전 제시/실행/개선
- 농장 경영 분석 : 양돈장 경영에 있어 생산원가 분석
- 농장 생산성 향상 컨설팅 : 양돈의 생산성 개선 제안, 효율적인 개선
- 농장 생산성 분석 : 농장의 데이터를 통하여 생산성 분석
- 양돈 교육 : 양돈 실무 전반에 대한 내외부 고객 교육 훈련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경영진단, 경영분석 로직 트리, 경영, 회계, 생산성 로직 트리, 전산관리(Pig-On), 양돈장 사양관리
-
- 2) 기술(Skill)
- 통찰, 상담 스킬, 논리력, 설득스킬, 농장 전산 & 데이터 분석, 교육, PT 스킬
-
- 3) 태도(Attitude)
- 경청, 배려, 열정, 창의, 논리적 사고, 적극성
식육
식품안전인증 컨설팅
1. 육성목표
안전먹거리 생산 및 유통을 위한 공인된 관리체계를 도입, 적용하여 HACCP, 친환경, 동물복지 등 분야의 공인된 제도를 인증 받도록 도움을 주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식품안전인증 컨설팅 직무는 식품안전사업 계획수립, 해당사업의 이해, 고객상담, 현장적용 및 유지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품안전사업 계획수립 : 사업기획, 예산수립
- 해당사업의 이해 : 농장, 식육, 육가공 사업이해
- 고객상담 : 고객면담, 제도수용독려
- 현장적용 및 유지관리 : 표준기준서 현장적용, 시설보완, 적용유지관리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경영전략이해, 식육 및 육가공 사업 이해, 관련 제도
-
- 2) 기술(Skill)
- 기획력, 분석적 사고, 커뮤니케이션 스킬
-
- 3) 태도(Attitude)
- 정확성, 창의적 사고, 열정, 실행력
식육연구
1. 육성목표
고객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성과 한결같은 맛의 우수성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자사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 차별점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식육연구 직무는 원료돈 가치 향상, 식품품질 안전성 향상, 경영품질 혁신, 소비자 가치 향상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료돈 가치 향상 : 종돈 육질 개량, 도축품질 향상
- 식품품질 안전성 향상 : 식육·육가공 안전성 평가, 식육·육가공 공정품질 향상
- 경영품질 혁신 : 부가가치 창출, 제조원가 개선
- 소비자 가치 향상 : 제품 차별점 연구, 소비자 맛 증진 연구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돼지사양학, 식육학, 식품영양학, 도축품질, 관련 법규, 미생물학, 식육 · 육가공 공정
-
- 2) 기술(Skill)
- 통계분석, 연구과제 수행 능력, 공정 분석, 안전성 분석, Auditing, 제조원가 분석, 고객 니즈 파악
-
- 3) 태도(Attitude)
- 전문성, 창의적 사고, 분석적 사고, 세밀함, 적극성, 개방성
육가공
육가공 R&D
1. 육성목표
고객니즈에 부합한 완성도 높은 신제품 개발, 공정 설계 및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연구와 결과물을 제품에 접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업무 수행 전문가
2. 직무소개
육가공 R&D 직무는 식품기초연구, 신제품 개발, 제품리뉴얼, 공정 개선, 제품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품기초연구 : 신소재, 신공정, 포장재, 신기술 연구
- 신제품 개발 : 신제품 기획, 배합비 설계. 공정설계. 설비 적용
- 제품 리뉴얼 : 품질개선, 원가 개선
- 공정 개선 : 모니터링, 원가개선
- 제품 분석 : 관능평가. 이화학분석
- 시장조사 : 국내외 신제품, 신기술, 트렌드 조사 분석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원부재료 특성, 설비/공정 이해, 관능검사 이론, 식품기초지식
-
- 2) 기술(Skill)
- 배합비설계, 설비활용능력, 제품 분석/평가 능력, 오피스 활용능력
-
- 3) 태도(Attitude)
- 열정, 창의력, 분석적사고, 도전정신, 인내심
IT
IT개발
1. 육성목표
ERP시스템을 분석/개발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IT개발 직무는 업무분석/프로세스파악, 개발툴 습득 및 적용, 문제점 진단 및 프로세스 개선, 신규 프로세스 지원 신규 법인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업무분석/프로세스파악 : 부문별 업무프로세스 파악 및 이해능력 향상
- 개발툴 습득 및 적용 : 프로그램 개발 및 DB설계
- 문제점 진단 및 프로세스 개선 : 발생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 제시 및 개발
- 신규 프로세스 지원 : 신규업무에 대한 프로그램개발 및 안정화 지원
- 신규 법인 지원 : 신규법인 생성시 영업,회계,생산 전부문에 대한 체계적 지원 및 개발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업무분석/흐름도 작성, 회계 기본 이해, P/G개발툴(델파이,VB,.Net,크리스탈레포트), DB 관리(oracle), 사업군별 특성을 이해하고 숨은 니즈 파악, 신규업무 분석, DB 설계, 시스템간 통합관리, 설계/개발/테스트/적용/교육
-
- 2) 기술(Skill)
- 시스템 분석기술, OA 기술, P/G개발기술, DB 관리, DB설계
-
- 3) 태도(Attitude)
- 집중력, 정확성, 분석력, 전문성
IT기획
1. 육성목표
IT를 이용한 사업(전략) 기획/ 서비스 기획/UI 기획(Mobile & Web)을 하며, IT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추진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IT기획 직무는 IT 기획/전략수립, IT 서비스 기획, UI 기획(Web/Mobile), IT Infra 기획/진단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IT 기획 / 전략수립 : IT부분 단기/장기 목표수립, 전략방향/실행계획 수립
- IT 서비스 기획 : 업무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IT서비스 도입/활성화
- UI 기획(Web/Mobile) : 사용자/개발/디자인 조율/테스트를 진행
- IT Infra 기획 / 진단 : 시스템 / 네트웍/주변장비 등을 IT전략/기획을 추진하는 방향에 맞추어 설계/변경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IT체계분석,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안 수립, 업무/환경분석, 문제해결방법, S/W품질관리, 프로젝트성과관리, IT투자, 솔루션 평가, 인프라운영
-
- 2) 기술(Skill)
- ISP, BPR, PI 진행/적용방법, 변화관리방법론, 리스크 관리 방법론, 전략개발 방법론, 관리적 정보보안, S/W품질모델, 프로젝트 정량/정성적 성과관리, 전사적 프로젝트관리(PMO), IT투자전략/ROI산정방법, 인프라운영/개선/실행관리
-
- 3) 태도(Attitude)
- 전문성, 통찰력, 정확성, 분석력, 집중력
IT인프라
1. 육성목표
정보시스템 네트워크/전산장비를 구축/운영 하며, 발생되는 여러 이슈를 처리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IT인프라 직무는 네트워크 설계/정책관리, 신규 Area 망 구축, 네트워크 유지보수, 서버/보안장비 선정 및 보급, Infra 설비 유지관리, 보안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트워크 설계/정책관리 : 전사 네트워크 설계/구성
- 신규 Area 망 구축, 네트워크 유지보수 : 신규 장비 선정 및 공사지원, 네트워크 유지관리
- 서버/보안장비 선정 및 보급 : 서버 솔루션 도입, 보안 솔루션 도입
- Infra 설비 유지관리 : 주기적 장비점검, 장애대응 복구, 운영관리
- 보안 관리 : 사내 보안정책 수립, 보안취약점 관리 및 교육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네트워크 망 구성 능력, 보안 지식, 네트워크 장비 지식, 업계 동향 지식, 서버 H/W 및 S/W 지식, 정보보호 및 보안 지식, 전원, 공조, 방제, 전산자재 관련 지식, 해킹 관련 기술
-
- 2) 기술(Skill)
- 네트워크/보안 장비, 구성 기술, 하드웨어 설치/관리 기술, 회선 관련 기술, 서버 운영 및 구성기술, 보안 및 위험관리 기술, 기기증설/교체 기술, 감시운용 기술, 운영 서비스 관리기술, P/G기본기술, 네트워크, 운영체제 기술, 취약점분석 기술
-
- 3) 태도(Attitude)
- 전문성, 정확성, 신속성
IT솔루션
1. 육성목표
고객의 요구사항을 인지, 파악하고 IT인프라를 활용하여 통합 솔루션을 기획, 설계, 코딩, 관리를 수행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IT솔루션 직무는 솔루션 기획, IT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솔루션 기획 : 요구지향 분석, 서비스 기획, VI, VX 기획, 알고리즘 기획, 데이터 분석
- IT개발 : 업무분석, DB설계, 개발 코딩 및 테스트, 형상관리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축종 사양 지식, 개발 방법론, 데이터 분석, IT인프라, 개발툴, 서버, DB, CSS, html, 프로토콜, 프레임웍, 네트워크
-
- 2) 기술(Skill)
- 프로젝트 성과관리 툴, VX 설계, 프로그램 개발, (자바, 자바스크립트, C#), APZ
-
- 3) 태도(Attitude)
- 통찰력, 고객지향성, 판단력, 사고력(융합), 인내력, 집중력, 정확성, 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IoT 센서
1. 육성목표
IoT 센서 개발 및 관련 인프라 구축 숙련자
2. 직무소개
IoT 센서 직무는 IoT 센서 HW, IoT 센서 SW, IoT 인프라 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IoT 센서 HW : 기존 센서 및 제어 시스템 구성을 파악하고 IoT 기능을 추가
- IoT 센서 SW : 센서 및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및 인프라 관련 SW 개발
- IoT 인프라 구축 : IoT 센서의 통합 관리 및 관련 SW 개발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단말 센서, 제어 시스템 및 IoT 기술 이해, 단말 장치의 SW 인터페이스, 소켓 통신, 다중 IoT 센서에 대한 구조, 연동 관련 지식
-
- 2) 기술(Skill)
- 센서 시스템 구현, 제어 시스템 구현, IoT 기술 구현,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연동 기술, IT 통신 기술, IoT 센서 통신 및 스킴 설계 관리 기술
-
- 3) 태도(Attitude)
- 대상 환경에 대한 시스템 구성, 직관력, 단말 장치 HW와 소통, 코딩 순발력, 장치의 구성 요소 파악, 거시적 해석능력
AI 알고리즘
1. 육성목표
영상, 음성인식기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현장적용까지 가능한 숙련자
2. 직무소개
AI 문제 구분, AI 기존솔루션 적용, AI 신규 알고리즘 개발, AI 학습 플로우 개발, AI 적용 최적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AI 문제 구분 : 당면 문제에 대한 모델링 및 솔루션 방향 설정
- AI 기존솔루션 적용 : 기존의 다양한 AI 솔루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및 활용 경험 이용
- AI 신규 알고리즘 개발 : 기존 AI 솔루션의 조합 및 새로운 AI 구조 설계
- AI 학습 플로우 개발 : 기존 AI 솔루션, 신규 AI 구조의 새로운 학습 플로우 설계
- AI 적용 최적화 : AI 연산의 CPU/GPU 로드 분석 및 패스트 알고리즘 구현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AI 알고리즘 및 구조, 기존 알고리즘의 이해 및 활용 경험, AI 알고리즘 깊은 이해, 변형 및 새로운 구조 설계, 딥러닝 학습 메커니즘의 이해, 효율적 라벨링 이해, AI 연산 메커니즘 및 관련 하드웨어 처리 구조 이해
-
- 2) 기술(Skill)
- 딥러닝 이해 및 구조적인 역할 분석 기술, 딥러닝 응용 기술, AI 알고리즘 그라운드 베이스 설계 기술, 딥러닝 학습 메커니즘 설계 기술, 라벨링-알고리즘 상관 기술, 딥러닝 알고리즘 간소화 및 HW 최적화 기술
-
- 3) 태도(Attitude)
- 분석력, 세심한 시스템 검토 능력, 세밀한 선행 연구 조사, 솔루션의 적용 순발력, 구조적 사고 능력, 핵심 기능에 대한 통찰력, 노동력/효율성에 대한 합리적 판단력, 심도 깊은 수학적 처리 분석력
로봇 구동 제어
1. 육성목표
단일 모션 및 다관절 로봇에 대한 설계 및 제어 Know-How를 겸비한 숙련자
2. 직무소개
관절/구동부 설계, 관절/구동부 제어, 복합 상태 변수 제어, 복합 모션 제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절/구동부 설계 : 로봇의 동작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에 맞는 설계 수행
- 관절/구동부 제어 : 물리적/전기적 특성을 고려한 모터의 토크/전류의 제어
- 복합 상태 변수 제어 : 센서 연동, 페시브제어, 무소음제어, 고속제어 등 복합 상태 변수 제어
- 복합 모션 제어 : 인버스 키네마틱을 활용한 복합 모션 제어 수행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구동부 동작 원리 이해 및 설계 Know-How, 기본 제어 신호 흐름 및 작동 원리 이해, 물리적 현상 및 상태 방정식의 심도 깊은 이해, 키네마틱의 구성 및 심도 깊은 이해
-
- 2) 기술(Skill)
- 구동부 구조적/역학적 해석 및 설계 기술, 역학적/전기적 특성의 제어 계수화 기술, 상태 방정식의 해석 및 제어 신호 융합 기술, 인버스 키네마틱 솔루션 기법 및 고속 처리 기술
-
- 3) 태도(Attitude)
- 공간 지각 능력 및 사고력, 물리적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력, 오랜 기간 쌓아온 노하우에 대한 적용 능력, 문제에 대학 숙련된 수학적 접근력
빅데이터 분석
1. 육성목표
통계분석 능력을 가지고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 가공, 처리하고 분석하며 도출된 결과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해석 할 수 있는 전문가
2. 직무소개
빅데이터 기획,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빅데이터 기획 : 의사결정, 실행과정에 필요한 정보와 인사이트 분석을 통해 제공하는 분석 체계 수립
- 빅데이터 분석 :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제 사업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 제품을 만드는 것
- 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를 그림이나 그래픽 형식으로 표현하여 데이터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해당도메인, 알고리즘, DB, 분석툴, DB, 알고리즘, 시각화툴, 데이터가공
-
- 2) 기술(Skill)
- 과제 유형 분류 기술 및 각 해결 방법론, 분석툴(Python, R, …), DB, M/L, D/L, 시각화툴, 데이터가공
-
- 3) 태도(Attitude)
- 통찰력, 판단력, 사고력, 고객지향
데이터 엔지니어
1. 육성목표
데이터들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대용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유지하는 것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인프라 설계 및 구축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
2. 직무소개
데이터 수집,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 인프라 아키텍트 및 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수집 : 원천 데이터 확인, 수집 주기 및 방법 결정, 인프라 구축
-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 : 데이터 통합 및 저장,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예외 처리방안 결정
- 인프라 아키텍트 및 구축 :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한 인프라 설계 및 구축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프로그래밍 언어, S/W 관련 지식, 데이터베이스, 오픈소스 활용, S/W 아키텍트 방법론
-
- 2) 기술(Skill)
- Apache Kafka, Logstash, Redis, Kinesis, Amazon DMS, Hadoop, Hive, HDFS, HBASE, Redshift, RDBMS, AWS Cloud, On-premise Hadoop
-
- 3) 태도(Attitude)
- 통찰력, 판단력, 사고력
경영품질혁신
경영품질혁신
1. 육성목표
비전달성을 위한 국내/외의 경영관리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운영과 그에 따른 목표 정렬, 변화관리, 교육, 과제 발굴, 과제수행, 표준화, 평가/피드백 활동 수준을 높이고 자율참여 역량을 향상시키는 전문가
2. 직무소개
하림 경영관리 시스템 (HMS) 운영, 하림 생산방식(HPS) 운영, 경영품질혁신 TFT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림 경영관리 시스템 (HMS) 운영 : 전략/KPI수립, 목표설정, 과정관리/문제도출/과제수행 영역의 경영관리시스템 운영과 교육 및 변화관리, HMS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개선
- 하림 생산방식(HPS) 운영 : 생산/사육/제조 현장의 역량향상 및 업무체계화, 사업장 자율 전원참여 지원
- 경영품질혁신 TFT 운영 : 경영품질 향상을 위한 과제도출/TFT운영, 과제수행 및 진척도관리, 지도 및 트렉킹, 수행과제 표준화
3. 필요역량
-
- 1) 지식(Knowledge)
- 비전/전략수립, KPI, BSC, DMAIC/DIDOV/DFSS, 문제해결기법, 공업통계
- 생산관리, 품질관리, 원가TPS, 자주보전, 계획보전, 6대로스, 7대낭비, 관리도, 표준개념, 사업장 업무 흐름
- 관리회계, 원가(COPQ), 표준화Process, 팀 빌딩
-
- 2) 기술(Skill)
- 목표정렬, 변화관리, 일정 관리, 코칭Skill, 퍼실리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동기부여, 현장소통, 논리적 문제해결
-
- 3) 태도(Attitude)
- 논리성, 적극성, 개방성, 열정적, 신중함, 자기동기부여, 긍정성, 공감, 몰입, 진실성